티스토리 뷰

목차



     

     

    알바 주휴수당 계산법 (2025년 최저시급 기준) 완벽 정리

     

     

     

    알바를 하면서 주휴수당을 받을 수 있다는 사실, 알고 계셨나요?

    많은 알바생들이 주휴수당을 제대로 받지 못하는 경우가 많습니다.

    주휴수당과 더불어 휴일수당에 대한 개념도 정확히 이해해야 내 권리를 찾을 수 있습니다.

     

    이번 글에서는 2025년 최저시급 기준으로 주휴수당 계산법과 알바들이 꼭 알아야 할 권리를 정리해 드립니다.

    🔽 빠르게 주휴수당 계산하는 방법이 궁금하다면? 아래 버튼을 클릭하세요!

     

     

     

     

     

     

    1.주휴수당이란? 알바도 받을 수 있을까?

    주휴수당이란 근로기준법에 따라 일주일 동안 정해진 근로일수를 채운 근로자에게 지급되는 유급휴일 수당을 말합니다. 알바도 일정 조건을 충족하면 받을 수 있습니다.

     

    ✔️ 알바 주휴수당 지급 조건

    • 1주일 동안 15시간 이상 근무해야 함
    • 정해진 근로일수를 성실히 출근해야 함
    • 고용 형태와 관계없이 적용됨 (단시간, 파트타임 포함)

    즉, 한 주에 15시간 이상 근무했다면 하루치 급여를 추가로 받을 수 있습니다.

    2.2025년 최저시급 기준 주휴수당 계산법

    2025년 최저시급은 아직 공식 발표되지 않았지만, 2024년 기준(9,860원)에서 인상될 가능성이 높습니다. 예상 시급 10,150원을 기준으로 주휴수당을 계산해보겠습니다.

    ✔️ 주휴수당 계산 공식
    👉 1주일 동안 받은 총 근무시간 ÷ 근무일 수 × 시급

    예를 들어, A씨가 2025년 기준으로 하루 5시간씩 주 5일(총 25시간) 근무한다고 가정하면,

    ✔️ 주휴수당 = 5시간 × 10,150원 = 50,750원

    즉, 근로자가 받은 급여 외에도 50,750원을 추가로 받을 수 있습니다!

    3.휴일수당과 주휴수당 차이점은?

     

     

    주휴수당과 자주 혼동되는 개념이 휴일수당입니다.

    구분주휴수당휴일수당

    지급 조건 1주 15시간 이상 근무 공휴일, 주말 근무 시 지급
    법적 기준 근로기준법 55조 근로기준법 56조
    계산 방식 1일 소정 근로시간 × 시급 1일 소정 근로시간 × 1.5배 시급

    ✔️ 휴일수당 = 초과근무 시 지급
    주휴수당은 일정 조건을 충족하면 무조건 지급되지만, 휴일수당은 법정 공휴일이나 주말 근무 시 추가로 지급됩니다.

    4.알바가 꼭 알아야 할 권리 3가지

    많은 사업장에서 알바생들에게 주휴수당을 지급하지 않거나, 아예 존재 자체를 숨기는 경우가 있습니다. 내 권리를 찾기 위해 다음 사항을 꼭 확인하세요!

    ✔️ 1. 급여 명세서 확인하기

    • 주휴수당이 급여에 포함되어 있는지 확인하세요.
    • 별도로 지급되지 않는다면 사업주에게 문의해야 합니다.

    ✔️ 2. 주휴수당 미지급 시 신고 가능

    • 주휴수당을 지급받지 못했다면 고용노동부 신고(국번 없이 1350) 가능합니다.
    • 신고 후 사업장이 시정하지 않으면 법적 조치가 진행됩니다.

    ✔️ 3. 알바 계약서 작성 필수

    • 반드시 근로계약서를 작성해야 합니다.
    • 계약서 없이 근무하면 불이익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.

    결론-주휴수당, 꼭 챙기세요!

    알바생도 근로자로서 정당한 권리를 보장받아야 합니다. 주휴수당과 휴일수당의 개념을 정확히 이해하고, 사업주가 지급하지 않을 경우 적극적으로 권리를 행사하세요.

     

    주휴수당 계산기를 사용해보고 싶다면?
    아래 버튼을 눌러 정확한 계산을 해보세요!